서울연구원 개원 30주년 기념 국제회의 2022

본문 바로가기

06 주택 주택정책의
올바른 기준과 시야

우리나라의 주택정책은 선진화된 통용기준(standard)과는 아직 거리가 있다. 주택정책은 여전히 중앙집권적이고 하향식 결정구조로 되어 있어 시민수요와 지역여건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다. 주택공급정책은 배분보다는 물량・실적 중심으로 주택수요량에 따라 마련되어 인구 및 가구의 질적 변화・시장환경 및 민간역량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주거복지정책은 공공임대주택과 주거비보조 간에 격차가 크고, 공공임대주택 재고에 비해 과도하게 완화된 입주자격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사회주택은 탈상품화된 (저렴한) 주택보다는 ‘사회주의적 주택’으로 인식되어, 공공이 직접 소유・운영하는 공공임대주택에 치중해 정책이 입안된다. 주택정책이 과도하게 시장에 개입해 자원의 최적배분을 저해하고 가수요를 촉발하기도 한다. 사회・경제적으로 시장자율과 공공개입 간의 균형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가구감소 및 환경문제 대응

2030년 이후 서울은 인구뿐만 아니라 가구도 감소할 전망이다. 가구감소시대에는 주택건설보다는 주택개량・재고관리가 중요한 연구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주택수요보다는 주거욕구를 충족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주택시장의 공간적 확대도 예상된다. 주택시장 분석은 수도권 전체를 대상으로 해야 유효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택 부문의 탄소배출량 저감, 제로에너지주택 확대 등과 관련한 연구도 필요하다. 환경정책 및 기술 관련 전문가와의 협력연구가 필수적이다. 주택 또는 주거문제에 있어 만병통치 해법은 있을 수 없다. 예를 들면, 주택가격 안정화를 위해 담보대출 수요를 억제하면 고자산가에게 유리한 시장환경이 조성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주택공급에 집중하면 택지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단기에 임대료가 상승하고, 상승한 임대료의 영향을 받아 중・장기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한다. 잘못 시행된 주택정책은 불가역적인 부[-]의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환경 분석・예측 및 정책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는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주택연구는 임기응변식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일 수 없다. 주택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